현시대에 전기생산량의 대부분은
화석에너지에서 나오고 일부는 원자력에서 나오는데
이렇게 만든 전기를 사용해서 전기자동차를 쓴다한들 친환경이 맞을까요 ..?
배출가스니 뭐니 해도 결국 화석에너지로 전기만들때 매연이나 이런건 고대로 나오는거니까 ..
태양열로 충전을 하든 공기흐름으로 충전을 하든 하지 않는이상 어차피 똑같을텐데
친환경자동차 이런건 결국 보여주기식인걸까요 .. ㅎㅎ
답은 수소밖에 없는건가 ..
현시대에 전기생산량의 대부분은
화석에너지에서 나오고 일부는 원자력에서 나오는데
이렇게 만든 전기를 사용해서 전기자동차를 쓴다한들 친환경이 맞을까요 ..?
배출가스니 뭐니 해도 결국 화석에너지로 전기만들때 매연이나 이런건 고대로 나오는거니까 ..
태양열로 충전을 하든 공기흐름으로 충전을 하든 하지 않는이상 어차피 똑같을텐데
친환경자동차 이런건 결국 보여주기식인걸까요 .. ㅎㅎ
답은 수소밖에 없는건가 ..
전기차가 없어도 전기는 여전히 생산해야 합니다. 지금 전기 철철 남아돌고
남아도는 전기로 전기차도 충전하는거지 전기차 때문에 화석에너지 더 쓰거나 그런것 전혀 없습니다.
우리나라에 전기차가 100만대가 되면 우리나라 전기 수요의 대략 1% 정도를 차지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또한 일부 축복받은 국가들은 수력발전의 비중이 상상 이상으로 높습니다.
노르웨이는 수력발전 비중이 99% 인지라 내연기관 판매 중단하고 전기차로 자신있게 가는거죠.
국내에도 사실 주행 강도에 따른 가솔린차량의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배출이나 노후 디젤 차량 및 관리가 되지 않는 디젤 차량이나 매핑이나 DPF 불량을 수리 하지 않는 등의 불량한 운전자들 덕분에 차라리 발전시설에서 나오는 배출가스가 나을수도 있습니다.
통제된 환경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걸러서 내보내는 화력발전소가 사실 배출가스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노후디젤차량이나 가솔린차량의 질소산화물에 비해) 친환경적이라고 평가 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한국이나 독일 같은 화력발전 비율이 전체에 30%이상을 차지하는 국가에서 전기 차량을 보급하려는 이유로 꼽히고 있구요
모터그래프 기사를 보면 최근 오스트리아 등에서는 전기차 보급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차별을 두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오스트리아의 경우 수력, 태양광 등 친환경 발전 비율이 80% 이상이기 때문에 전기차를 이용할수록 유해배기가스를 줄일수 있게 됩니다.
전기차 보급으로 인해 내연기관 차량보다 안좋은 것은 아마도 폐배터리 처리문제와 배터리를 생산하는 자원의 고갈이 가장 큰 문제이고 그중 하나인 배터리를 생산하는 자원의 고갈의 경우 대체재를 꾸준히 찾고있는 중입니다.
수소전지 차량으로 가더라도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생산자체도 아직은 화석연료에 의존하여 생산을 하고 있는 만큼 수소차도 완벽한 대안이 아닙니다.
수소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이 있지만 수소 가격이 친환경 시설을 보급을 늘릴 만큼의 수준은 아니고 수소 가격이 오른다면 굳이 수소차를 탈 이유가 없어지는 딜레마가 있죠
정말로 완벽한 대안을 찾으려면 차체 전체에 태양광 발전패널을 붙혀 태양광만으로만 충전을 하는등의 방향성을 뛰어야 하지만 결국 효율성의 문제겠죠 ( 사실 이 방법도 태양광 패널을 생산하는데에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논란이 있습니다. )
어쨋든 발전 방법에서 유해가스 배출을 줄일 방법을 모색해야 겠지만 발전소는 도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당장에 우리가 이용하는 자가용, 트럭 등의 차량들은 도심에 인접해서 다니니까요
내연기관 차량을 전기차로 대체하게 되면 인구가 밀집한 도심지의 대기 질 개선효과가 클수 밖에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