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퍼빔 > 프레임 레일 에너지 전달은 상당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범퍼빔을 에너지 흡수체로만 착각하는데
가장 주 기능은 에너지 전달 경로 형성입니다.
프레임 레일로 전달된 에너지는 또 다른 경로로 에너지가 전달 됩니다.
이걸 고려하지 않고는 스몰오버랩을 대응할 수 없습니다.
RAV 4가 증명했습니다.
이전에 현대 옹호론자들 주장
범퍼빔 에너지 흡수 미흡, 범퍼빔 > 프레임레일 에너지 전달 없음
현대 해명
범퍼빔 에너지 흡수 미흡, 범퍼빔 > 프레임레일 에너지 전달 있음
쟁점
내수와 북미형간에 범퍼빔 > 프레임레일 에너지 전달량은 같나?
왜 1. 범퍼 스테이를 사다리형으로 크게 만들고 2. 범퍼 스테이 전면부 범퍼빔을 돌출시키고
3. 확장된 범버빔을 더 두껍게 만들었는가?
아직도 이것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스몰오버랩 피충돌체가 곡면이기 때문에 충돌지점을 약간만 벗어나도 전달되는 에너지는 차이가 많이 난다.
현대 시물레이션에서 정확하게 25% 충돌지점을 지켰나?
약간 25%를 넘어서 충돌한 것으로 보이는데
IIHS 조수석 테스트와 같이 빗겨맞는 상황에서도 내수도 범퍼빔 > 프레임레일 에너지 전달이 잘 될 수 있나?
이런 의문점이 듭니다.
어쨌든
현대 북미형 범퍼빔은 아주 과학적으로 잘 설계했네요
이전에 정주영님께 했던 질문을 한 번 더 봐주세요
https://c.motorgraph.com/index.php?mid=info&page=3&document_srl=501900
근데 정주영님은 왜 잠수타고 안나타나시나요?
특허 문서안의 개념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
[추가]
시뮬화면과 표만 보고
범퍼빔 > 프레임 레일 에너지 전달 있다고 설명한다고 생각했는데
음성들어보니
범퍼빔 > 프레임레일 에너지 전달 없음이네요 여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