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한용 기자님,
저는 대전사는 30세 이OO이라고 합니다.
최근 HDA 기능에 관심이 많아서 질문 드립니다.
기존 스마트크루즈(이하 SCC)는 오래전부터 대형차들에는 많이 들어가던 옵션이라.. 그렇구..
어드밴스드스 마트크루즈(이하 ASCC)도 오래전 제네시스DH 부턴가 들어간거로 알고 있습니다.
그중에 차로이탈방지(=차선유지시스템 이하 LKAS)가 제네시스 15년식부터 들어갔나.. 그랬던거로 기억나서..
참 신기하구나 하면서 나도 저기능을 대중화되면 꼭 나중에 달아야지 하면서 지켜봤는데..
이제는 접급 가능한 아반떼급 준중형에도 LKA(차로이탈주행보조) 가 들어가더라구요..
그래서 이제 저도 고속도로반자율주행시스템(HDA = LKA+ASCC+AEB 등)이 들어간 차량을 관심 갖게 되었습니다.
이제 와서 돌아보니 현대/기아 참 많은 차종에 들어가있더라구요.
그 중 접근가능한 선(K3, i30, 아반떼, 싼타페, K7)에서 가장 진보된 HDA가 들어간 차종을 비교 해보려구 하는데..
EPB가 들어간 차량은 ASCC와 함께 정지 출발이 지원되는거로 알고 있고,,
또한 K7신형은 드라이브 와이즈가 제일 진보되어 차로 유지를 잘한다고 하는데..
이 중에서 가장 정확히 차로중앙유지를 해주며, 정지/출발이 될 정도의 반자율주행이 가능할법한 차종이 궁금한데..
어떤 차종이 좋을까요?
i30, 스팅어, 제네시스, 쏘나타, k5 등에 들어간 LKA는 요즘나오는 세대보단 밀리는거 같은데 그 주행감이 차이가 있을까요?
HDA 기능을 다각도로 경험해보신 기자님의 고견을 듣고 싶네요.
----
대부분 현대차그룹 HDA는 주행감에서 약간 문제가 있는데, 앞의 차를 너무 늦게 파악하기 때문에 차가 100미터 앞에 있더라도 급가속을 하는 일이 빈번하다는 겁니다.
특히 멈춰있는 차에 취약하고, 사고유발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좀 더 개선의 여지가 있습니다.
현재까지 국내 나와 있는 차종 중 가장 진보한 HDA는 현대차 넥쏘와 기아차 K9입니다.
앞차를 따라가는 과정이 부드럽고 멀리까지 내다봅니다.
외산차도 실선에서 끼어드는 차량엔 속수무책이던데, 개선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