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의 경우 구동축이 전륜이고 엔진도 전방에 있기 때문에 구동축과 같은 방향으로 엔진을 배치하여 회전을 직결적으로 주는 것이 추가적인 동력 전달계를 축소할수 있어서 동력전달에 따른 손실이 적어 가로배치가 유리하며
FR의 경우 구동축이 후륜이기 떄문에 세로로 배치되어 프로펠러샤프트를 통해 구동력 전달이 용이 하고 동력전달계를 축소할수 있어 세로배치가 사용됩니다.
FF인데 세로배치로 엔진을 배치할 가능성은 예상컨데 무게중심을 좀더 뒤로 이동하는 행위 이외에 세로배치에 대한 이점보다는 잃는것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잃는 것에 대한 기술적 극복을 할수 있다면 최고의 무게벨런스를 구현할수 있겠지요 아마도 박스터가 후륜 기준 세로배치엔진을 사용한 후륜이라고 봐도 무방하겠네요 박스터의 앞뒤를 뒤집으면 FF의 세로배치 형태가 되겠죠
4륜구동을 쓸경우 FF임에도 세로베치를 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것은 G70이나 스팅어 AWD가 구동축을 전륜을 쓴다 라고 생각하면 좋을듯 합니다. (사실은 후륜을 구동축으로 하지만 ) 구조적으로 엔진을 세로 배치하고 후륜으로 동력을 보낼때 동력분배를 한번 더 해서 전륜으로도 동력을 보냅니다. 이때 후륜으로 가는 동력분배를 끊으면 그냥 전륜 차량과 동일시 되는 것이죠
만들자면 가능한데 그냥 후륜으로 만드나 전륜으로 만드나 코스트는 거의 비슷할 것이기 때문에 굳이 FF를 위해 세로배치를 하는것은 양산차 제조사 입장에서는 쓸데없이 비용이 증가한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잘 나오기 힘든 방식이라 생각되네요 ㅎㅎ
드물지만 전륜구동인데 세로배치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앞바퀴를 앞쪽으로 쭈욱 빼고, 엔진을 앞바퀴와 운전석 사이에 세로로 배치하게 되고, 구동축 방향 때문에, 후륜구동의 엔진이 뒤를 바라보는 세로배치라면, 전륜구동의 경우는 앞을 바라보는 세로배치 입니다. 물론 이 경우, 엔진 배치를 위해 실내공간의 손해를 볼 수는 있지만, 앞뒤 무게배분상의 이점은 있을겁니다. 이는 코너링 성능으로 연결될거고요.
혼다 레전드=대우 아카디아가 전륜구동 세로배치였구요. 지금은 아우디 차들이 전륜구동 세로배치를 합니다.
가로로 놓거나 세로로 놓거나 엔진은 똑같은데 변속기는 전혀 다릅니다.
그냥 검색해보면 됩니다. 세로 배치 변속기는 길다랗게, 가로배치 변속기는 짤막하게 생겨서 변속기에서 바로 양쪽 구동 축이 나오도록 생겼죠.
변속기에서 바로 구동축이 나오는 경우를 가리켜 트랜스액슬 방식이라고 합니다.
1-1) 가로배치의 단점 가로로 배치하면 엔진이 가로로 기니까 휠하우스의 빈공간을 충분히 뽑기 어려워서 바퀴가 많이 꺾이지 못합니다. 유턴할때 좀 어렵겠죠?
엔진을 가로로 배치하면 무게 배분에서 불리합니다.
구동 축이 무거워져서 관성이 작용하고 토크스티어가 생기며 핸들링 특성이 둔해집니다.
1-2) 가로 배치의 장점
가로배치 전륜구동을 만들면 엔진룸이 실내로 거의 침범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를 넓게 뽑기 좋구요.
무게도 조금 더 가벼워지고 연비도 더 좋아집니다. 원가도 저렴해지죠.
눈길에서는 무게배분이 나쁜 편이 주행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구동하는 축이 무거우면 파고들어서 직진 할 수 있죠)
2-1) 세로배치의 단점 변속기가 실내로 들어오기 때문에 실내 거주성이 나빠집니다
2-2) 세로배치의 장점
코너링에 좋습니다.
그럼 아우디는 어떻게 세로배치를 하는가.
세로형 변속기를 조금 변경해서 구동력을 다시 앞으로 보내서 변속기내 디퍼런셜을 이용합니다. 딱 보기에도 좀 변태적입니다. 왜 굳이 이렇게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 뭔가 집요함이 있는것 같고. 콰트로를 기본으로 설계해서 나머지를 다 그대로 두는게 경제적이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콰트로 방식을 위해 그렇게 디자인했다고 알고 있어.
지금 길게 설명을 못하겠지만(술마심), 전륜도 세로배치 가능하다구~~포토르기니~~^^